♧...신춘문예,수상작

[스크랩] [2014 영남일보 문학상 시 당선작] 송지은

김욱진 2014. 1. 7. 22:47

[2014 영남일보 문학상 시 당선작] 송지은

 

피운다는 것은

 

 


문은 좀처럼 열리지 않았다

어둠이 찰 지게 들어있는 방에서 꽃은

게으른 손목에 잡혀 나오지 못하고 있다

물이 스민 계절은 부풀고

어디에도 합류하지 못한 이력서 같은

천리향 나무 잎사귀 몇 장이

형광등 불빛에 말라 떨어지고 있다

손톱만한 잎사귀의 먼지를 닦아내면

바람이 지나간 흔적이 있다

목마름을 견디며 버틴 푸른 힘줄이 보인다

비정규직 자리에 새 흙을 끌어와 분갈이를 한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나무에 물이 오르면

꽃잎 하나가 어둠을 빠져나와

봄의 이마에 붉은 웃음을 낙점하고 확대한다

살아있는 동안은

누구에게나 꽃피울 자리는 있다

피운다는 것은 쓰러지기 위한 눈부신 허무

향기를 피우고

곰팡이를 피우고

바닥의 통증까지 밀어올리고나면

속수무책으로 무너져 도둑처럼 사라진다

피우는 것들은 모두

어둠을 본적지로 두고 있다

 

 

 

 

 

 

홀로 깨어 있다는 것, 외롭지만 행복

사람의 마음에 기대는 글 쓰고 싶다

 

두통과 함께 날아온 당선 통보는 한동안 나를 혼돈의 늪에 밀어넣었다.
집 앞의 오래된 버드나무가 새로운 계절을 받아들일 때마다 분명 이럴 것이라는 생각과 겨울 하늘에서 우는 단말마의 새소리도 촉촉하다는 느낌을 가졌다.
도심을 벗어나 흙을 밟고 산 지가 3년이 되었다.
자라던 풀들과 곡식들이 안식이거나 소멸한 자리에 홀로 깨어 있다는 것은 외로운 일이나 또한 홀로 깨어 있어서 행복하다. 생각의 뼈를 세우고 감성을 마름하는 일들은 고난이자 내 삶의 의무이므로 멈출 수는 없다.
두통은 느닷없이 찾아왔지만 시는 늘 나무늘보처럼 움직였고 나는 오래 기다려야 했다. 멀리 혹은 높은 곳에 있으면서 가끔은 축지법을 쓰는 너. 기다리는 일로 익숙한 나에게 혼돈이 밀려든 것은 길을 잘 찾아가라는 무언의 메시지일 것이다.
거실에서 각혈을 하듯 잎을 다 쏟아내던 천리향 나무는 화분을 벗어나 앞마당에서 흰 눈을 맞고 있다. 서둘러 오는 봄에는 꽃이 필 것이고 어둠을 거머쥐고 나온 향낭들이 얼마나 많은 종소리를 쏟아낼지가 자못 궁금하다. 그들이 그리는 풍경 속에서 나는 또 분홍색 연속무늬 가슴앓이를 하게 될는지 모른다.
하루 동안 곁에 머물던 편두통이 빠져나간 공간에 내일처럼 기뻐해줄 사람들을 호명해 본다. 그 이름들로 하여 잘 견디었고 넘어지지 않았다고. 그리고 부족한 글에 손을 들어주신 심사위원 선생님들과 영남일보에 감사한 마음을 올린다.
시의 몸이 아닌 사람의 마음에 기대는 글을 쓰겠다고 정갈하게 다짐을 한다.

 

시대 아픔 녹여낸 어두운 응모작 많아

당선작, 매 순간 삶 꽃피우는 힘 내재

 

2014년을 영남일보문학상 시 부문 응모작과 응모자 수는 총 1천862편에 389명. 대한민국이 여전히 문학을 귀히 여기는 문학공화국임을 과시하는 놀라운 수다. 전 세계 보기 드문 우리 민족의 문학 열기에 부응하기 위해 심사에 더욱 엄정을 기했다.
남녀노소 고루 보내온 응모작을 당대의 삶과 사회의 속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현상지. 올해 응모작은 어두웠다.
혁명도 사랑도 순정도 없는 시대를 살아내는 아픔들이 그대로 현상돼 나왔다. 특히 ‘비정규직’이 우리 시대의 키워드로 떠오르며 신유목시대 뿌리 뽑힌 이미지가 곳곳에 편재해 있었다.
예심을 거쳐 본심에 올라온 응모자는 25명. 읽고 또 감상하며, 논의에 논의를 거듭한 끝에 송지은씨의 ‘피운다는 것은’을 당선작으로 뽑았다. 자잘한 우리네 일상에서 삶의 끝, 간 데 없는 깊이를 천착해가며 우리 사회를 둘러보게 하는 힘, 끝내는 허무일지라도 푸른 힘줄처럼 매 순간의 삶을 꽃피우는 힘이 있었다.
같이 보내온 응모작 ‘벙어리 뻐꾸기’의 한 부분 “울음의 표기법이 달라서 건너갈 수 없는 슬픔/ 가슴을 쳐서 북이 된다면/ 살에 닿는 아픔을 녹여 수수꽃다리 같은 소리를/ 너에게 물려주고 싶었다”에서 처럼 소통과 감동이 있었다. 머리로 짓는 시가 아니라 생살 터지는 아픔을 가슴에서 가슴으로 전하는 그 감동, 진정성의 힘이 있기에 당선작으로 흔쾌히 밀었다.
당선작과 함께 ‘해바라기’와 ‘오랑캐꽃을 위한 광시곡’이 마지막까지 경합을 벌였다.
같이 보내온 작품들을 참조하며 면밀히 비교, 검토한 결과 ‘해바라기’는 아직 덜 영글어서, 이에 비해 ‘오랑캐…’는 절실하기는 하나 너무 농익어, 무엇보다 기성시인들의 시법과 시의 구절 등이 자꾸 연상될 정도로 개성이 약한 게 흠이었다.

이경철·이산하

 

 

 

출처 : 신춘문예공모나라
글쓴이 : copyzigi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