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시산맥작품상 문성해 시인 수상 | ||||||
11월21일(토) 예술가의 집에서 시상식 열려 | ||||||
| ||||||
2015년 전국 시산맥 행사가 오는 11월 21일(토) 오후 5시에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개최된다. 이날 시상식을 가질 제6회 시산맥작품상에는 문성해 시인이 수상자로 선정됐으며, 수상작으로 문성해 시인의 「초당두부가 오는 밤」이 최종 확정됐다. 상금은 3백만원이다. 시산맥작품상은 지난 한 해 계간 『시산맥』에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기 추천된 시산맥 작품상 후보 작품 17편이 심사 대상이었다. 작품상으로서 공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심사위원들은 이번 시산맥 작품상으로 선정하며 “문성해의 시는 감각적 선명성과 서사적 얼개로 시적 진경을 보여주고 있고 일견 어둑하고 쓸쓸해 보이는 언어를 통해, 존재의 심층을 따듯하게 감싸 안는 데서 이 시편은 빛난다.”고 했다. 심사는 외부 송찬호(시인), 유성호(평론가), 내부 본지 주간 박남희(시인), 편집인 유정이(시인)이 맡았다. 기 수상자는 김종미 시인, 김점용 시인, 신현락 시인, 차주일 시인이다. 시상식 당일 제10회 시산맥 신인상 최연수 시인, 제11회 시산맥 신인상 김태인 시인 그리고 제10회 최치원신인문학상 수상자 지관순 시인에 대한 등단패도 함께 수여한다. 수상자인 문성해 시인은 1963년 경북 문경에서 출생, 1998년 매일신문신춘문예, 2003년 경향신문신춘문예로 등단하였으며 시집으로 『자라』, 『아주 친근한 소용돌이』, 『입술을 건너간 이름』등이 있다. 대구 시협상, 김달진 문학상 부문 젊은 시인상을 수상했다.
초당(草堂)두부가 오는 밤
*허엽(許瞱)1517-1580,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초당(草堂)이며 허균, 허난설헌의 아버지, 청백리이며 문장가, 조광조 윤근수 구수담 허자 등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파직 당함, 허엽은 강릉의 바닷물로 간을 한 두부를 만들게 했는데 그의 호를 따서 초당두부라고 하였다. **삼베를 기저귀처럼 잘라서 사용하던 옛날의 여성 생리대 |
'♧...참한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이 되려면/천양희 (0) | 2015.11.06 |
---|---|
죽도 시장 비린내 외 1편/문인수 (0) | 2015.10.27 |
종례시간/도종환 (0) | 2015.10.14 |
들깻잎을 묶으며/유홍준 (0) | 2015.10.08 |
지는 잎/이기철 (0) | 2015.10.08 |